통합검색서울미래교육지구의 궁금한 사항을 검색해보세요.

학교랑 마을이랑 어린이 청소년이 학교와 마을에서 삶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서울시, 서울특별시교육청, 자치구청, 교육지원청, 지역사회,학교가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여 학교-마을교육공동체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기록들을 모아놓았습니다

'소통창구로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제안해 봅니다'

본문

by 박종윤(은평마을방과후지원센터 혁신교육팀)

1. 마을에 이런 사람 있을까요?

“깨톡 개톡”
‘우리학교 아이들이 요리를 배우고 싶다는데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학교에는 아이들이 요리수업을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요‘ ‘따르릉“ 올해도 학생들이 교육봉사활동을 하고 싶다는데 할 수 있을까요?‘ 학교 선생님의 요청이다.

선생님의 요청에 따라 마을에서 요리할 수 있는 곳을 찾다가 ’전환마을 밥풀꽃‘이라는 단체 대표에게 연락했다. 이곳은 식당으로 운영하기도 하고 지역행사가 열리는 커퓨니티 공간으로 이용되기도 해서 익히 잘 알고 있는 곳이었다. 여력이 되는 데로 함께 하기로 했고 학교 선생님과 같이 방문하기로 약속일정을 잡았다.

2. 마을은 교실을 넘어 하고 싶은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장

’전환마을 밥풀꽃’을 방문해서 기관대표와 아이들 수업을 맡아줄 청년활동가를 만나 진행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수업내용도 더 풍성해졌고 아이들을 생각하는 서로의 마음을 알아가는 따듯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메뉴로 즐겁게 요리를 하면서 기후위기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고 먹거리와 채식에 대한 관점을 달리해보는 것도 무겁지 않게 사알짝 얹어보기로 했다. 마지막 차시 수업에는 요리경연대회 형식으로 하돼 경쟁이 되지 않는 내용을 구성하기로 입을 모았다. 만나니 이야기가 배가되고 마음은 서너배가 되는 듯 했다.

아이들이 이 활동을 통해서 지역의 공간과 그곳의 사람들을 알게 된다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학교와 마을의 관계성을 만드는 시작점일 것이다. 단지 할 수 있는 공간의 조건을 넘어서 지역과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작년에 고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설계해서 초·중등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 봉사활동을 지역의 키움센터, 지역아동센터 등에 연계했었는데 이 활동에 참여했던 학생들과 기관 담당자의 만족도가 매우 컸다. 코로나로 인해 2~4인이 팀을 나누어서 진행하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은 일이다. 지역연계를 요청해오신 담당 선생님의 보이지 않는 수고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고 중간지원조직의 담당자로서 지역연계 활동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3. 중간지원조직은 학교와 마을의 소통창구

2020년 교육청사업인 ’중간지원조직시범운영사업‘은 학교-마을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는 것, 그래서 한 아이도 빠짐없는 성장지원이 주목적 사업이었다. 중간지원조직을 새롭게 정립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학교와 마을 연계가 무엇인지, 활동을 하면서 조금 알게 되었던 것 같다.

대부분의 사업은 년초에 기획되어 대상과 지원성격이 정해져 일년 동안 진행한다. 그렇지만 예산의 일부분은 새로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 조건을 넘어서 유연하게 기획하고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마련되면 좋겠다. 작년에 ’중간지원조직시범운영‘사업은 이런 활동이 가능한 사업이었다. 사례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하고 지역의 자원을 연계하는 일이었다.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새롭게 얘기한다면 일종의 플랫폼으로 역할을 들 수 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또는 필요시 정보제공을 하거나 필요한 것을 마을과 연결하거나 혁신교육사업이나 마을에 대해 찾아가는 설명회를 하는 것, 학교를 포함해서 지역을 돌며 네트워킹을 하는 것,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것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실제 작년에 코로나로 소규모 간담회를 여러차례 하면서 교사, 마을강사, 지역사회의 활동가들을 만났는데 이러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 상황에서 누구에게 물어볼 수도 없는 답답한 시기에 더 절실한 역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양화 되어가는 사회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문제에 대한 다각적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며 학교나 마을 모두에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사업의 행정적 지원을 넘어서서 거버넌스지원, 지역연계, 전화하면 맞춤형 지원이 가능한 소통창구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제안해본다.

올해도 사업계획에는 없지만 추가로 주워지는 학교와 마을연계 업무를 즐겁게 하고 있다. 올해도 새롭게 요구되는 활동이 있는데 무척 기대가 된다.